광고 | |||
시민단체들 "댐건설 백지화하고 유물 조사해야"
수자원공사 "문화재 조사 후 공사 진행할 것"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성혜미 기자 = 환경재단과 참여연대 등 20여개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한탄강 살리기 시민연대는 26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탄강댐 수몰예정지에 보존 가치가 높은 중요 문화재의 소재지가 다량 포함돼 있다고 주장했다.
시민연대는 "자체 조사결과 지금까지 이 지역에 댐 건설을 위해 실시됐던 지표조사 결과에 포함되지 않은 문화재가 많다"며 경기 포천시 창수면 운산리 구석기 유적, 포천시 관인면 합수터 구석기 유적과 지석묘군, 연천읍 부곡리 사지, 포천시 관인면 어모장군 밀양 박씨묘 등 20개 지역을 중요 유적지로 선정, 발표했다.
시민연대는 "수몰예정지역에는 철원 대교천 주상절리와 한탄강 현무암 협곡 등 보존 가치가 높은 명소들이 많다"며 "정부가 한탄강댐 건설 계획을 전면 백지화하고 철저한 문화재 조사를 실시해 중요 문화재를 보호해야 하며 명승지 보존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연대는 "한탄강이 세계적 수준의 자연ㆍ역사ㆍ문화적 가치를 갖고 있음에도 이를 외면한 채 댐 건설을 강행하는 것은 우리나라에 발전이 아닌 손실을 가져올 것"이라며 "한탄강을 지키는 것은 대한민국의 진정한 선진화를 위한 역사적 사건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앞으로 공사중단 소송을 제기하고 한탄강의 가치를 알리기 위한 답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은 물론 한탄강댐 건설 결정 과정의 의혹을 낱낱이 밝혀내는 활동과 한탄강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록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민연대는 이날 발족식 후 광화문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한탄강댐 건설 철회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낭독하고 `모든 것을 바로 세워야 사람이 편하게 산다'는 의미를 담아 회원들이 가로수에 거꾸로 매달리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이에 대해 댐 건설을 추진 중인 한국수자원공사측은 "시민단체가 우려하고 있는 문화재에 대해 철저한 조사를 진행할 것"이라며 "조사 결과 발견된 문화재는 문화재위원회의 심의 결과와 관계 법령에 따라 보존 대책을 세운 뒤 (댐) 공사를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bkkim@yna.co.kr
noanoa@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