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연천지역 수몰지에 대한 보상을 마무리 한 뒤 포천지역 보상에 들어가 전체 공정률을 22.6%까지 높인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댐 건설에 반대하는 강원도 철원군 주민 등 150여명이 댐 건설 기본계획 고시 취소소송을 제기해 법원이 댐 규모를 절반 정도로 축소하라는 조정권고안을 내는 등 다시 찬.반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철원군 주민들은 법원의 조정권고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댐 건설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반면 경기 파주.포천.연천 주민들은 비상대책위까지 구성해 댐 건설을 원안대로 추진할 것을 촉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한 데 이어 김문수 경기지사까지 건의문을 제출해 양측의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탄강댐 건설 문제는 이제 법원의 최종 판단으로 가려지게 됐다.
서울행정법원은 아직 소송에 대한 선고기일을 잡지 못한 상태지만 어떤 판결을 내리든 반발이 예상돼 소송이 대법원까지 이어져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
한탄강댐은 1996년, 1998년, 1999년 등 3차례 임진강 하류지역 대홍수로 128명이 숨지고 9천6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면서 홍수 피해 예방대책으로 군남홍수조절댐과 함께 추진됐으나 환경 파괴 논란 등으로 7년 동안 시일을 끌다 2006년 12월 댐 건설 기본계획이 고시되면서 공사가 시작됐다.
한탄강댐은 연천군 연천읍 고문리와 포천시 창수면 일대 한탄강에 길이 694m, 높이 83.8m, 총저수용량 2억7천만㎥ 규모로 홍수조절용으로 건설 중이며 2012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슈&포커스] 한탄강댐 건설 찬·반논란 여전
경향신문 입력: 2008년 03월 02일 15:04:42
한탄강댐에 대한 건설계획이 확정됐는데도 찬·반 논란이 여전하다. 강원도민들은 환경파괴 등을 이유로 댐 건설 백지화를 요구하는 반면 경기도민들은 비상대책위까지 구성해 댐 건설을 원안대로 추진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2일 수자원공사 임진강건설단에서 시행중인 한탄강댐 건설공사는 공사용 도로 12.2㎞ 가운데 3.7㎞가 개설되는 등 5.2%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건설단은 댐건설 실시계획이 고시된 지난해 2월 28일 착공할 예정이었으나 가설사무소 부지가 문화재 발굴 조사지역으로 지정되면서 공사에 차질을 빚어 실질적인 공사는 7월부터 시작됐다.
건설단은 올해 사업비 1866억원을 투입해 가설사무소를 짓고 9월부터는 유수전환공사를 시작한다는 방침이다. 또 연천지역 수몰지에 대한 보상을 마무리 한 뒤 포천지역 보상에 들어가 전체 공정률을 22.6%까지 높인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최근 댐 건설에 반대하는 강원도 철원군 주민 등 150여명이 댐 건설 기본계획고시 취소소송을 제기한 뒤 법원이 댐 규모를 절반 정도로 축소하라는 조정 권고안을 내면서 또 다시 찬·반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철원군민들은 법원의 이같은 조정 권고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당초 요구대로 "댐 건설을 전면 백지화해야 한다"면서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반면 댐 건설을 찬성하는 경기 파주·포천·연천 주민들은 비상대책위까지 구성해 댐 건설을 원안대로 추진할 것을 촉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한데 이어 김문수 경기지사까지 건의문을 제출해 양측의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탄강댐 건설 문제는 이제 법원의 최종 판단으로 가려지게 됐다. 서울행정법원은 아직 소송에 대한 선고기일을 잡지 못한 상태지만 어떤 판결을 내리든 반발이 예상돼 소송이 대법원까지 이어져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
한탄강댐은 1996년, 1998년, 1999년 등 3차례 임진강 하류지역 대홍수로 128명이 숨지고 9006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면서 홍수 피해 예방대책으로 군남홍수조절댐과 함께 추진됐으나 환경 파괴 논란 등으로 7년 동안 시일을 끌다 2006년 12월 댐건설 기본계획이 고시되면서 공사가 시작됐다.
한탄강댐은 연천군 연천읍 고문리와 포천시 창수면 일대 한탄강에 길이 694 높이 83.8, 총저수용량 2억7000㎥ 규모로 홍수 조절용으로 건설 중이며 2012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